주택검사에 대한 상담을 하다보면
주로 받는 질문중에 하나가 와서 뭘 봐주냐는 것이다. 그럼 주로 물, 습기와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점검을 한다고 하면 좀 실망하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사람들 생각엔 습기는 별 중요한 문제가 아니고, 그보단 뭐 구조적인 안전성 같은 것이 훨씬 더 멋지고 중요한 일처럼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런 사람들의 생각과든 달리 구조적인 부분은
주택에선 거의 문제가 되질 않는다. 뉴스 같은 데에 나오는 아주 오래된 집에, 이웃에서 터파기를 하면서 집에 금이 쭉쭉가고 하는 상황이 아니라면 구조로 문제가 될 일들은 거의 없다. 그런 집들이 뉴스에 나오는 것은 워낙에 특이한 일이기 때문에 나오는 것이다.
주택문제의 대부분은 물과 관련된 문제이다.
ASTM에서도 주택하자의 90%는 물과 관련이 된 문제라고 아예 대 놓고 얘길했다. 그럼 물과 관련된 문제를 살펴본다는 것은 주택 문제의 90%는 점검한다는 이야기이다.
물이 주택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재료를 변형시키기 때문이다. 콘크리트는 더 크랙이 심해지도록 하고, 나무는 상하게 만들고, 쇠는 녹슬게 만든다. 집안에 있는 모든 건축자재들은 물과 그로인한 곰팡이에 취약하다. 그 속에 사는 사람도 마찬가지다.
집에 물이 들어가면
재료들에 변형이 생기면서 이상증상들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가장 흔하게 보고 또 주의해서 봐야할 부분이 전에 보이지 않던 옅은 누런색의, 갈색의 물들이 흐른 자국이 나타나는 곳은 없는가 하는 부분이다.
누런 물이 흘렀다면 그건 집이 보내는 이상 신호이다. 집이 울고 있는 것이다. 아이가 울면 부모의 손길이 필요하듯이 집이 울면 집주인의 손길이 필요하다. 특히나 겨울철이나 여름 장마철이 되면 저런 누런 색의 물이 흐른 자국들이 발견되는 곳들이 있다. 주로 지붕 처마와 그 아래쪽이다. 지붕쪽에 뭔가 이상이 있다는 신호이다.
요즘 지어지는 타운하우스풍의 주택들은 특히나 잘 살펴보아야만 한다. 지붕 처마는 짧고, 외벽은 그대로 비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지붕과 벽체 안쪽에서 생긴 문제들이 겨울철에 열, 공기, 습기의 방향이 바뀌면서 드러나는 경우들이 있기 때문이다.
![](https://blog.kakaocdn.net/dn/AEraU/btrGg0eRVLS/R4xRkxU7KG2ImDWXbkgDV0/img.jpg)
만일 누런 물이 흐른 자국이 발견이 된다면 주택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원인을 알아야만 대처를 할 수가 있다. 사소한 작은 일 일수도 있지만 큰 일의 징조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뭐든 초기에 고치는 것이 비용이 적게 드는 일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KSUSb/btrGmoMphKS/6VBHtYAhHRxbnrYxuZN8O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d4LEu/btrGgoHg0I0/qeT4KHViuLOmVJTp0GUL41/img.png)
'주택하자 검사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래된 집, 구옥 구입해서 리모델링하겠다면 반드시 확인 해야할 점 (0) | 2022.07.04 |
---|---|
주택검사 일 시작한후 가장 놀랬던 검사현장, 곰팡이 천국을 만나다. (0) | 2022.07.03 |
주택 구입전에 뭔가 이상한 부분이 있다면 주택검사를 신청하세요. (0) | 2022.07.02 |
신축주택 주택검사 최적의 시기는? 집 짓고 입주한후 1년쯤 지난 시기 (0) | 2022.06.29 |
주택검사를 나갔더니 그 옆집이 더 문제, 지붕이 변형되어 울고 있다면 (0) | 2022.06.29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