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번에 적었던 '정직한' 단열페인트 판매상에 대한 글에
요즘 국내에서 팔리고 있는 한 단열페인트에 대한 질문이 하나 올라왔다. 간단하게 답을 할 내용이 아니라서 따로 정리를 한다. 어떻게 하면 좀 더 쉽게 이해하기 좋게 설명을 할까를 한참을 생각했다.
* 스스로 판매하던 단열페인트를 자신의 집에 사용해서 고난을 겪은 판매상에 대한 내용은 아래 글 참조
https://blog.naver.com/jeffrey001/221041912120
결론부터 먼저 얘기하자면 단열페인트는 단열재가 아니다.
1990년대초부터 미국을 중심으로 단열성을 가진 페인트에 대한 광고와 제품들이 계속 나왔지만 지금까지 한건도 공식적인 인증을 받은 제품은 없다. EPA에서도 단열페인트의 단열성에 대한 신뢰할만한 연구조사결과를 하나도 발견하지 못했다고 얘기하고 있는 실정이고, 전통적인 단열재를 사용해야만 할 곳에 단열페인트를 사용하는 것을 비추천하고 있다.
그런데도, 단열페인트라는 이름으로 팔리는 제품들이 있다. 무엇 때문일까? 그것은 그 제품들이 제한된 범위내에선 열의 전달을 줄여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즉, 그들이 하는 얘기가 100% 순수한 뻥은 아니라는 말이다. 아주 많이 과장되었을 뿐이다.
단열페인트나 차열페인트들의 효과는
주로 페인트들이 가진 색상에서 나오는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의 단열페인트들이 하얀색 위주인 것은 그 색이 가장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검은색의 단열페인트는 없다. 적어도 나는 아직까진 못봤다. 더운 지방에 사는 사람들이 지붕을 하얗게 칠하느라 애쓰는 이유는 하얀색이 햇볕을 반사시키는 능력이 다른 색보다 좋기 때문이다.
지붕의 색상에 따른 온도 차이를 조사한 그래프가 하나 있다. 이 그래프를 보면 하얀 색 코팅이 된 지붕이 검은 색 슁글보다는 표면온도가 많이 낮다. 그 이유는 햇볕을 많이 반사 시키기 때문이다.
그럼 하얀색 코팅재는 단열성을 가진 것으로 다시말해 단열재라고 부를 수 있을까?
사실 이 부분때문에 좀 고민을 했다. 내가 가진 단열재의 정의가 좀 모호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자료들을 좀 찾아보면서 단열재를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를 확인해 봤다. 웹스터 사전을 비록해서 대부분의 자료들이 열의 전달을 차단하거나 줄이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주로 열의 전도를 막는 재료라는 의미로 단열재를 규정하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즉, 단열재라고 부를 수 있는 재료는 한쪽에서 다른쪽으로 열의 전도를 막는 기능이 있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그런 사전적인 의미라면 페인트류는 단열재라고 불릴 수가 없다. 열의 전도성이 낮은 것이 아니라 열을 반사시키는 효과 위주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보통 우리가 열반사단열재라고 부르는, 사실 이 제품들도 단열재는 아니라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는, 알류미늄 코팅된 제품들과 같은 부류의 건축재료라고 보면 될 것 같다.
(단열재 사용할 곳에 단열페인트 사용해서 생긴 문제에 대한 사례는 위쪽에 링크된 글 읽어보시길...)
때문에 단열페인트와 같은 제품들은 열반사 단열재 제품들과 같은 사용상의 유의점을 갖는다. 열원쪽에 빈 공간이 있어야만 하고, 다른 재료와 겹쳐서 사용되면 효과가 없고, 깨끗하게 관리되지 못하고 먼지 등으로 오염이 되면 반사율이 낮아지므로 그 효율이 떨어진다.
제한된 용도이긴 하지만 플러스적인 효과만 있다면 사용에 문제가 될 것이 없지만,
사실 반사율이 높다는 것은 양날의 검이다. 플러스가 있으면 마이너스도 있다는 얘기이다. 지붕에 하얗게 칠한 페인트는 여름철에 지붕 온도를 낮춰 집안을 시원하게 해주지만, 겨울철에도 햇볕을 반사시켜 집안을 계속 시원하게(?) 만들어준다. 여름철 냉방비 절약한 부분은 겨울철 난방비 증가한 부분과 상쇄된다. 결로방지를 위해 하얗게 칠해진 벽은 실내의 열을 열심히 반사를 시키기 때문에 표면 온도를 오히려 더 낮추는 역할을 한다. 낮은 표면온도는 다시 결로를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정리를 한다.
단열페인트는 단열재가 아니다. 때문에 단열이 필요한 곳엔 단열재를 사용하는 것이 맞다. 단열페인트는 빛을 반사하는 제한적인 기능이 있다. 그런 용도에 맞는 곳에 적절하게 사용을 한다면 효과를 얻을 수도 있을 것이다. 아직까지는 단열재가 필요한 곳엔 단열재를, 페인트가 필요한 곳엔 페인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정말로 언젠가 페인트를 칠하는 방식으로 단열이 되는 제품이 나온다고 한다면 그땐 내가 먼저 나서서 열심히 홍보를 해 줄 것이다. 아직은 그런 제품은 없다. 요즘 국내 페인트 회사들이 단열페인트라는 말을 안쓰고 차열페인트라는 말을 쓰는데엔 다 이유가 있는 것이다. 규모가 좀 있는 회사들의 경우에는 법적인 리스크문제도 관리를 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소규모 영세업체들처럼 아무 생각없이 허위과장광고를 하지 못한다.
'빌딩사이언스(건축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쉬마우스, 물고기 입, 지붕에 그런 현상이 생기면 누수는 정해진 순서 (0) | 2022.06.07 |
---|---|
곰팡이 핀 식빵은 먹어도 되지만, 버섯 핀 건축자재는 청소하고 소독하고 말리고... (0) | 2022.06.06 |
왜 고급 목조주택으로 갈 수록 일반구조재가 아닌 엔지니어링우드를 사용할까? (0) | 2022.06.04 |
스틸하우스와 목조주택의 단열 벽체 열교문제로 인한 열손실 비교 (0) | 2022.06.03 |
유리창이 많은 집과 적은 집의 냉난방비 차이비교, 썬룸 만들어서 생긴 하자문제의 원인은? (0) | 2022.06.01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