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하자문제 전문가로서 좋은 집을 고르는 방법에 대한 조언.
집을 고를 때 사람들은 가격을 먼저 본다. 같은 가격이면 더 넓은 집, 더 예쁜 집을 찾는다. 하지만 그 전에 먼저 따져야 할 것이 있다.
"이 집은 싸게 지어도 되는 집인가, 아니면 싸게 지으면 안 되는 집인가?"
그리고, 가격의 적정성 등을 판단해야만 한다.

세상엔 싸게 지어도 되는 집이 있다. 디자인과 구조가 단순한 집이다. 전통적인 집 모양을 가진 것들이다. 바람이 많이 불지 않는 곳, 물이 쉽게 빠지는 곳에 지어진 집이다. 그런 집은 마감재가 조금 저렴해도, 설계가 단순해도 괜찮다. 구조가 튼튼하고, 물이 스며들지 않으며, 습기로 인한 문제가 없으면 오래 간다. 유지보수도 어렵지 않다.
하지만 싸게 지으면 안 되는 집들도 있다. 성토 하거나 경사진 땅에 짓다보니 기초를 깊이 파야 하는 집, 비와 바람을 많이 맞고 습기 문제가 생기기 쉬운 집, 디자인 및 구조가 복잡하여 시공에 신경을 많이 써야만 하는 집 같은 것들이다. 그런 집을 싸게 지으면 얼마 지나지 않아 문제가 생긴다. 벽에 곰팡이가 피고, 바닥이 내려앉고, 창이 틀어지고, 결로가 생긴다. 방수와 단열이 부족하면 누수와 결로로 벽이 젖고, 겨울이면 열손실이 커서 난방비가 많이 든다. 그런 문제들이 처음에는 보이지 않는다. 몇 년 지나야 드러난다. 그때는 이미 늦다.

보통 대부분의 사람들은 집을 고를 때 그저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과 실내 인테리어를 먼저 본다. 벽지가 깨끗한지, 주방이 멋진지, 바닥이 반짝이는지를 본다. 하지만 정작 중요한 것은 보이지 않는 곳에 있다. 기초가 튼튼한가, 구조가 단단한가, 물이 새지 않는가, 단열이 잘 되어 있는가. 이런 것들은 눈에 잘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그 차이는 몇 년 뒤 확연히 드러난다.
좋은 집을 찾고 싶다면 먼저 판단해야 한다. 이 집은 싸게 지어도 되는 집인가, 아니면 반드시 비용을 들여야 하는 집인가. 그 차이를 아는 것이 집을 고르는 첫 번째 기준이 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후회할 일을 하기가 쉽다.
집에 대해선 워낙 잘 몰라서 그런 판단이 안되는 분들은 다음주에 하는 카페의 세미나를 참석해 보는 것이 좋다. 아래 공지문 확인하면 된다.
https://cafe.naver.com/bshi/7338
바쁘고 시간도 없고, 관심도 없다면... 그런 분들은 집 살때 주택검사를 받아야만 한다는 것을 기억해 두시면 된다. 내게 의뢰하면 전문가적인 관점에서 좋은 집을 골라 드릴 수가 있다. 다만, 비용은 아끼지 말아야 한다. ^^
'집에 대한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에 집 보러 다닐땐 꼭 홈인스펙터와 함께 가세요. 콩꺼플 방지 (0) | 2025.03.12 |
---|---|
하자주택 감별사, 홈인스펙터의 집 보러 갔을 때 행동 요령 (1) | 2025.03.04 |
유명 인플루언서의 주택구매 실수, 투시력이 없어도 공부를 좀 했다면... (2) | 2025.02.28 |
어느 날 집이 말을 걸었다. 난 그 말을 보고 듣는 주택하자 감별사, 홈인스펙터 (0) | 2025.02.25 |
유리창이 많으면 당연히 집이 춥지요. 모든 걸 다 가질 수는 없는 법 (0) | 2025.02.18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