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번엔가 바닥에 생기는 결로 문제를 묻는 질문에
열교현상이 의심된다는 답변을 달아 준 적이 있었다. 피로티 구조이고 결로가 생기는 부분이 바로 기둥 윗부분에 위치한 방바닥이니 근거는 충분한 답변이었다.
어제 그 분한테서 또 전화가 왔다.
건축주와 얘기를 하는데 잘 이해를 못한다는 것이다. 아마도 얘기하시는 분도 개념 이해가 잘 안된 상태에서 얘길 하다보니 설명이 모호한 점도 있었을 것 같다. 하지만, 더 문제는 집 짓는 사람이 열교현상에 대해선 전혀 들어본 적이 없다고 했다는 부분이다. 자신이 모르는 것이라고 그런 것 없다는 식인듯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 양반은 지금 문제 제기된 집 옆에 또 똑같은 모델로 다세대주택을 하나 더 짓고 있다고 한다. 지금 상황이라면 그 집도 또 똑같은 문제가 생길 판국이다.
어떻게 보면 좀 이해가 가기도 하는 상황이다. 사실 열교현상(Thermal bridge또는 냉교현상)이라는 말이 알려진지는 얼마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열교현상이란 말은 단열이 강조가 되면서 함께 나온 단어이니 이것도 우리나라에선 10여년의 정도밖엔 안돼었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그래도, 일반 사람이라면 몰라도 건축을 하는 사람이 강산도 한번 변한다는 그 10년의 시간동안 열교현상에 대해서 들어보지도 못했다는 식이라면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해서 공부라곤 안하는 사람이 아닐까 싶다. 또 그런 사람이 짓는 집은 분명히 열교현상이 많은 집일 것으로 의심이 된다.
열교란 말그대로
열이 건너가는 다리 같은 부분을 말한다. 열은 저항이 가장 적은 부분, 전도성이 가장 좋은 부분으로 흘러 나간다. 단열재는 열저항성이 높고 전도성이 낮다. 반면 콘크리트는 열을 훨씬더 잘 전달한다. 그래서 아래 그림의 왼쪽 것과 같이 열이 빠져나가는 현상이 벌어지는데 그걸 열교라고 한다. 반대로 차가운 외부 온도가 전해진다고 냉교(cold bridge)라고도 부른다.
열교현상은 열화상 카메라로 찍어 보면 잘 나온다. 아래 오른쪽 사진이 열교 현상을 아주 잘 보여준다.
열교현상이 생기면
그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차갑기 때문에 잘 나타나는 현상이 결로와 곰팡이 문제이다. 결로와 곰팡이 문제가 주로 집의 구석진 부분에서 생기는 것은 그 부분이 구조적으로 열교현상들이 잘 생기는 부분들이기 때문이다.
열교현상을 아주 다 없앨수는 없겠지만 많이 줄일 수 있는 시공방법들에 대해서도 이미 다 나와있다. 이런 부분들이 반영되지 안았다면 그건 열교현상에 대한 개념이 없는 시공이다.
좀 엉뚱한 생각이긴 한데
요즘 지어진 건물들 열화상카메라로 들여다보면 아마도 그 건물을 지은 사람이 열심히 공부를 잘 하는 사람인지 아니면 그냥 옛날 방식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는 사람인지를, 즉 건축에 대한 지식 수준을 판가름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위에서도 얘기했지만 열교현상은 단열과 함께 등장한 말이다. 열교도 모르는 사람이 지은 집이라면 그 집은 단열에도 좀 문제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면 너무 심한 생각이 될까? 나중엔 입사지원서의 토익성적표처럼 건축 성적표를 건물 앞에다 붙여 놓는 날이 올지도 모르겠다.
'빌딩사이언스(건축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 난방비 적게 나온다고 자랑했다간 민폐이웃 본색 드러나기 십상 (0) | 2022.05.12 |
---|---|
숨구멍이라고는 없는 집은 유지관리가 안되면 곧바로 결로, 곰팡이 천국 (0) | 2022.05.12 |
거주불가 판정을 받은 주택들의 불가능 사유, 결로곰팡이 등 습기문제 (1) | 2022.05.11 |
북미 경량목구조 주택 하자의 블러드문 끝판왕, 스타코 하자 대재앙 경고 (0) | 2022.05.11 |
실내 공기의 질 향상을 위한 공기청정기의 올바른 선택 방법과 기대효과 (0) | 2022.05.10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