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분야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종종 '완벽'이라는 이상을 추구하는 경향들이 있다. 이는 특히 건축 하자와 관련된 문제를 다룰 때 더욱 두드러지는데, 일부 업체 사람들은 작은 문제라도 발견되면 큰 규모의 개조나 재건축을 주문하기도 한다. 이런 접근법은 기술적인 정확성과 장기적인 건축물의 안정성을 보장하려는 선한 의도에서 비롯되지만, 때로는 너무 과도한 조치로 이어질 수가 있다.
내 생각엔 모든 문제에 완벽한 해결책을 추구하는 것이 현실적이지 않다. 예를 들어, 오래된 주택의 경우 일부 불편함이나 작은 하자가 존재하더라도, 이를 완전히 해결하기 위해 큰 비용과 시간을 투자하는 것은 가성비가 없고 본다. 차라리 문제를 보강하거나 개선하는 정도로 관리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나는 이런 나의 태도를 그럭저럭 주의라고 부른다. 일상생활에서 완벽함을 추구하는 것이 언제나 좋은 것 많은 아니기 때문이다. 물론, 중대한 구조적 문제나 안전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하자는 즉각적이고 전문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작은 문제를 받아들이고 이를 개선하는 방향으로 접근하는 것이 더 현실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한편으로는 '그럭저럭 사는 것'이 주거 공간을 더 인간적이고 살아 있는 곳으로 만들 수도 있다는 생각이다. 살아온 삶의 흔적, 시간의 흐름을 간직한 공간은 때때로 새 것으로 대체할 수 없는 매력과 기억을 담고 있으니 말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모든 작은 결함을 없애려 하기보다는, 그것들을 하나의 독특한 특성으로 받아들이고, 필요한 경우에만 개선하는 것은 더욱 가치 있는 일일 수도 있다.
건축 하자와 관련된 문제를 다룰 때는 균형이 중요하다. 필요한 경우에는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되, 모든 상황에 완벽한 해결책을 요구하기보다는, 실용적이고 경제적인 접근법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너무 완벽하게 살려고 피곤해 지는 삶은 그다지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생각이다.
'주택건축및유지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무 집이나 보고 막 무너진다고 얘길하는 유명인이 있네! (1) | 2024.05.31 |
---|---|
경매로 나온 집을 사서 집수리할 때 중요한 체크 포인트 (0) | 2024.04.18 |
주택 하자 문제나 분쟁은 먼저 주택하자문제 전문가에게 문의하세요. (2) | 2024.03.27 |
주택 하자문제에 대한 흔한 오해, 하자가 생겼을때 가장 좋은 선택은 (0) | 2024.03.24 |
집을 짓는 사람과 주택하자문제 전문가의 차이, 하자는 하자전문가에게 (1) | 2024.03.22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