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랫만에 시간을 내서 처음 빌딩사이언스에 대해서
배울때 봤던 동영상 강의들들 다시 한번 쭈욱 리뷰를 하고 있다. 사람의 기억력이란 한계가 있는 것이라서 그런지 아니면 좀 머리가 나빠져서 그런건지 왠지 처음 듣는 것 같은 인상을 주는 부분들이 많다. 아니면 그땐 제대로 알아듣지 못했던 내용들일 것이다.
몇 편의 강의를 듣다보니 그 사람들이 주로 강조하는 얘기가 좀 정리가 된다. 주로 주택전문가들 보다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강의이다 보니 핵심이 되는 주제가 왜 요즘은 예전보다 훨씬 더 많은 주택하자가 발생을 하고 있는가에 대한 설명부분이다.
주로 아래와 같은 이야기들이 거론이 된다.
여러가지 원인들이 거론되지만 가장 공통적이고 핵심적인 부분은 세가지 정도인 것 같다. 요즘 주택문제의 90%이상이 습기와 관련이 되어 있다는 것을 감안하고 들으면 된다.
먼저 달라진 생활방식이다. 미국이나 우리나 예전엔 욕실이 집안에 없었고 여름철엔 강가에 가서 목욕하고, 겨울철엔 필요할때 야외에 있는 가마솥에 물끓여서 창고에 목욕통 하나 놓고 사용을 했다. 부엌도 따로 있었고 화장실도 따로 있었다. 요즘은 그게 다 집안으로 들어왔다. 즉, 집안에 습기가 발생할 수 있는 요소들이 엄청나게 증가했다는 이야기이다.
두번째는 달라진 건축재료이다. 예전엔 벽체를 막기 위한 재료들은 나무를 얇게 잘라 만든 판자들 정도밖엔 없었다. 사실 판자 하나 만들기도 보통 일이 아닌지라 판자를 많이 써서 만든 집은 굉장히 고급주택이었고, 보통의 집들은 흙이나 흙벽돌 같은 것을 사용해서 지어지곤 했었다. 판자 하나 만들기가 얼마나 힘든 일인지 아래 일본의 옛그림에 잘 표현되어 있다.
하지만, 요즘은 예전과는 달리 아주 넓직한 합판을 사용한다. 판자대신 합판을 사용한다는 것은 공기가 새는 틈새들이 현격하게 줄어들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충 지어도 옛날 집 보다는 훨씬 더 공기순환이 안되는 집을 짓고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타이벡 같은 것으로 집을 꽁꽁 둘러싸 놓고, 집안에 석고보드에 도배까지 해 놓으니 예전 집들과는 천양지차의 기밀성을 갖게 되었단 것이다.
생각해 보자.
공기가 안통하는 비닐봉지 안에다 분무기로 살짝 물을 뿌려 놓으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비밀봉지 안쪽에 물방울들이 맺히기 시작하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요즘 집이 그런 상태가 되고 있다는 얘기이다. 즉, 주택 문제의 가장 큰 원인은 물, 즉 습기인데 그 습기를 집안으로 끌여들여 놓고, 습기가 빠져나갈 구멍은 다 막아버리고 있는 집이 요즘의 집이란 얘기이다.
게다가 세번째 요소로 요즘 건축에 쓰이는 재료들이 기가 막히게도 곰팡이들이 좋아하는 재료들로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나무 자체도 습기에 약하지만 그 나무를 갈아서 접착재 섞어서 만든 것들은 훨씬 더 습기와 곰팡이에 약하다고 한다. OSB, 파티클보드, MDF, 벽지 등의 재료는 곰팡이들에겐 아기 이유식처럼 소화가 잘되도록 만들어진 재료들이란 얘기이다.
더 큰 문제는 집은 이런 식으로 크게 변화를 했는데 사람들의 인식은 집의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집의 체질이 바뀌었다는 것은 집을 짓는 방식이나 관리를 하는 방식에도 변화가 있어야만 된다는 것인데 아직도 예전처럼 별 신경을 안쓰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이고, 그런 부분도 주택 문제의 증가에 기여를 하고 있다는 것이다.
'빌딩사이언스(건축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열재 등의 건축재료에 대한 부적절한 설명, 단어사용이 끼치는 악영향 (0) | 2022.05.13 |
---|---|
인터넷을 통한 집짓기 정보 습득의 한계, 책을 보면서 극복 가능 (0) | 2022.05.13 |
건조한 공기와 습도가 높은 공기 중 어느것이 더 무거울까? 이유는? (0) | 2022.05.12 |
아파트 난방비 적게 나온다고 자랑했다간 민폐이웃 본색 드러나기 십상 (0) | 2022.05.12 |
숨구멍이라고는 없는 집은 유지관리가 안되면 곧바로 결로, 곰팡이 천국 (0) | 2022.05.12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