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샌드위치 판넬지붕에 환기용 박공벤트를 설치하려면, 먼저 고려할 점들

빌딩사이언스(건축과학)

by 제프 주택하자문제전문가 2022. 4. 26. 10:46

본문

흥미로운 질문이 있다.

샌드위치판넬로 조립식 주택을 짓는데 박공지붕에 환기구멍을 뚫는 것이 필요한가 하는 부분이다. 박공지붕의 환기구멍은 정식 명칭은 게이블 벤트라고 하고 아래 사진처럼 생겼다. 보통 목조주택에선 많이 설치를 하는 부분으로 지나다니며 자주들 보았을 것이다.

 

지붕 박공에 설치된 벤트 사진

목조주택에 필요한 저 게이블벤트가 샌드위치판넬 조립식 주택에도 필요할까?  조립식 주택에 박공벤트를 만든다고 하면 제대로 된 건축업자가 아니라고 생각을 할 수도 있지만, 사실은 설치할 수도 있고, 또 어떤 면에서는 더 주택관리엔 도움이 될 수도 있을 것 같다. 무조건 틀린 것이 아니라 그 집의 지붕 구조와 상황에 따라서 다르다는 것이다.

 

사실 집 지을 때 게이블벤트의 설치 여부는

건축업자의 취향이나 시공능력의 문제에 달린 것이 아니라 지붕 쪽 단열을 어디에 하는가 하는 부분에 달려있는 문제이다. 게이블벤트가 설치가 되려면 단열선이 지붕라인이 아니라 지붕아래 천정 라인이 되어야만 한다. 그 얘긴 박공 벤트가 설치가 되려면 천정 윗부분에 단열재들이 설치가 되어야만 제대로 단열이 되고, 박공벤트가 문제 요소가 아니라 제 기능을 발휘하는 장치가 된다는 것이다. 아래 사진을 보면 좀 더 이해가 쉽게 될 것이다. 벽 쪽에 네모난 게이블 벤트가 보인다. 이 지붕에서 단열재는 지붕서까래가 아니라 아래쪽 천정 쪽에 설치가 되어 있다. 이런 식의 구조는 괜찮다. 하지만, 단열재가 천정 바닥이 아니라 서까래 쪽으로 올라간 상태에서 벤트가 만들어지면 단열에 문제가 된다.

 

천정 단열재 시공사진

그런데, 왜 저 게이블벤트를 설치를 할까?

네 가지 이유가 있다.

첫 번째는 지붕 쪽에 습기의 축적으로 인한 결로를 방지하기 위해서 이다.

두 번째는 적절한 환기를 통해서 여름철 지붕 속의 온도를 낮춰 주기 때문이다.

세 번째는 같은 사유로 인해서 겨울철에 지붕에 생기는 아이스 댐을 방지해 주기 때문이다.

네 번째는 지붕 온도를 낮춰서 지붕재인 슁글의 수명을 연장해 주기 때문이다.

 

그럼 게이블벤트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어떤 경우인가?

대개의 샌드위치판넬 조립식 주택들은 지붕 패널은 두꺼운 150~250T 판넬을 사용하고 천정은 50T 정도의 얇은 판넬을 사용한다. 이런 경우 단열선은 천정 위쪽이 아니라 지붕선이 된다. 이 경우엔 게이블벤트를 설치하면 단열에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설치를 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그런데, 문제는 한가지 조건이 더 달라붙는다. 천정과 지붕 쪽의 판넬들이 빈틈없이 기밀시공이 되어야만 한다. 그래야만 지붕 아래로 들어간 습기로 인한 결로 문제가 지붕 쪽에 생기질 않는다. 그런데, 사람이 하는 일이란 것이 완벽할 수만은 없다. 틈새가 있다. 거기에다가 판넬자체의 수축팽창으로 인한 틈새도 생겨난다. 천정 위쪽으로 빈틈들이 생기는 것이다. 그러니 그 부분으로 실내의 생활습기들이 올라가고 지붕 아래쪽에 제대로 기밀 시공이 되지 않은 부분에서 결로들이 생기는 것이다. 지은 지 좀 된 판넬집에 앉아있다 보면 천정 위로 물방울 떨어지는 소리들이 똑똑 거리면서 가끔 들릴때가 있다. 그런 이유 때문이다. 그런 것을 방지하기 위해선 업자들이 가끔 무턱대고 게이블 벤트를 설치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럴 경우 단열선이 무너지는 것은 불가피하다. 지붕선에 단열을 할 경우엔 게이블 벤트를 설치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조립식 집에 박공 벤트가 없어서 결로가 생기더라도 그 양이 많지만 않으면 문제는 없다. 그런 현상들이 생기면 가끔씩 새로 생긴 틈새들은 막아주는 유지관리가 중요하다. 집은 짓는 것도 중요하지만 제대로 관리를 하는 것도 중요하다.

 

정리하자면 게이블벤트는 단열선이 지붕선이냐 천장선이냐에 따라서 유무가 결정이 된다. 단열재가 지붕판넬이 더 두껍게 들어간다면 설치하지 않고, 천장 윗부분에 놓인다면 설치를 한다. 국내에선 대부분 지붕재로 판넬을 쓰기 때문에 설치하지 않는 것이 좋다. 결로 문제는 천정 부분의 기밀 시공과 실내 습기 관리로 방지를 하는 것이 바람직이다.

 

참고로 우리나라엔 주로 둥근 모양의 게이블벤트만 사용하지만 사실 게이블 벤트는 그 종류도 많고 크기도 다양한다. 짓는 집의 규모에 맞게 만들어서 사용하기도 한다.

 

다양한 게이블벤트 사진

집을 짓는데엔 어느 한 방법이 일방적으로 맞는 일은 없다. 여러 가지 방법을 상황에 맞게 사용하면 

된다. 다만 그 판단의 기준이 빌딩사이언스, 즉 건축과학의 원리에 맞는지를 확인할 필요는 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