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에 네모 네모난 모양의 모던 스타일이라고 불리는 집의 디자인적인 문제와 재료 선택에 대한 문제에 대한 글을 읽다보니 린다 브록의 "Designing the exterior wall"에 대한 얘기가 나온다. 건축사가 이런 기본적인 책도 안 읽어 본 모양이라는 책망과 함께 말이다.
나도 안 읽어본 책인지라 괜히 찔려서 찾아서 읽어보고 있다. 지금까지는 주로 빌딩사이언스 과학자들이나 홈인스펙터들이 쓴 책들을 중심으로 읽었었는데 요건 또 건축가가 쓴 책이라 조금 다른 맛이 있는 것 같다. 빌딩사이언스적인 요소는 간략하게 정리가 되어 있고 그것에 따라서 건축재료와 공법들이 어떻게 적용이 되는지를 설명하는 내용들이다.
이 책에 나오는 글귀중 하나가 다른 글에도 대표적인 조언이라는 식으로 나온 것이 있어서 소개를 한다. 바로 "수직이 아닌 벽은 지붕이다."는 말이다. 무슨 얘기인가 하면 수직으로 내려오는 벽체가 아닌 경사가 진 벽체는 벽체가 아니라 지붕으로
생각하고 시공을 해야만 문제가 없다는 얘기이다.
예를 들면 아래 사진을 보자.
이 멋진 고급주택을 지은 설계사는 소소한 부분까지도 디자인에 매우 신경을 썼다. 유리창 하단 부위의 벽체를 살짝 들어올려 치마 모양으로 만들어 포인트를 준 것이다. 아마도 그 옆쪽으로 설치되는 철제 데크와 좀 더 잘 어울리도록 벽체를 디자인하고
싶었기 때문이리라.
헌데, 그 살짝 들어올린 모양 때문에 저 부분과 그 주변은 빗물에 의해서 심하게 오염이 되었다. 저런 문제 때문에 린다 브록은 수직의 벽에 수직이 아닌 부분을 만들려면 그 부분은 벽체가 아니라 지붕처럼 여기고 마감처리를 해야만 한다는 얘기를 하는 것이다.
좋은 디자인은 멋진 디자인과는 좀 다른 면이 있는 것 같다. 멋과 함께 소소한 부분까지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세심하게 빌딩사이언스적인 원칙들이 적용된 디자인이라야 좋은 디자인이라고 부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건축설계 하는 분들이나 집 짓는 분들 모두 한 번은 읽어야만 할 책이다.
실제 주택검사를 나갔다 만나 사례
한 주택의 창문 부분의 외벽이 경사진 상태였는데 다른 외벽과 똑같이 시공을 해서 누수 문제가 발생을 한 현장이다. 나무 루바와 실리콘으로 누수를 막을 수 있다고 생각을 했다니... 이곳도 제대로 지붕처럼 방수공사가 필요하다.
'빌딩사이언스(건축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철 시원하라고 만들어 놓은 정자 밑이 시원하지 않고 더운 이유는 (0) | 2022.04.25 |
---|---|
단열재의 성능은 추울 때가 아니라 따뜻할 때 최고성능을 발휘한다고... (0) | 2022.04.25 |
에어컨과 같은 원리인데 제습기는 왜 뜨거운 바람이 나올까? (0) | 2022.04.24 |
여름철 아파트 지하주차장 결로현상, 하자는 아니고 귀찮은 자연현상 (0) | 2022.04.24 |
주택의 단열은 겨울철에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여름철에도 중요 (0) | 2022.04.24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