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컨테이너로 만든 이동식 주택이 추운 이유? 컨테이너의 모양 때문

빌딩사이언스(건축과학)

by 제프 주택하자문제전문가 2022. 4. 23. 14:57

본문

집은 사람용, 컨테이너는 화물용이 내 기본적인 입장이다. 하지만, 경제적인 여유 때문에 컨테이너를 임시 주거지로 선택하시는 분들이 많다. 컨테이너를 주거지로 사용할 경우 그 안에서 지내기 힘든 계절은 여름과 겨울이다. 4계절중 여름과 겨울의 비중이 높으니 1년중 상당기간은 지내기 힘들다는 얘기이다.

 

지내기 힘든 계절을 조금이라도 수월하게 넘기기 위해 컨테이너를 가져다 놓고 단열을 어떻게 할까를 고민하며 추가적인 비용을 투입하는 분들이 많다. 그런 분들에게 참고가 될만한 얘기이다. 아쉽지만 긍정적인 내용이라 아니라 부정적인 얘기이다. 

 

컨테이너는 단열문제에 있어서 극복하기 어려운 2가지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다.

 

하나는 핀(fin) 효과이다.  우리 말로 하면 날개 효과??? 컨테이너는 얇은 철판을 벽체에 사용하는데 위에서 누르는 힘을 받치기 위해선 아래 사진처럼 벽체 철판을 올록볼록하게 굴곡을 줄 수 밖에 없다. 그래야만 누르거나 미는 힘에 버티는 힘이 생겨난다. 

 

평평할 때보다 올록볼록해지면 전체적인 표면적이 늘어난다. 차갑거나 뜨거운 외부 공기와 접하는 면이 늘어나는 것이다. 이는 곳 단열문제로 연결된다. 집안을 따뜻하게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라디에이터를 보면 그 원리를 알 것이다. 표면적이 늘어나면 열전달에 좋다는 것이다. 반대로 단열에는 취약하다는 얘기이다.

 

 

 

두번째는 컨테이너를 둘러쌓고 또 받치고 있는 철골들에 의한 열교현상이다. 특히, 이동을 위해 바닥은 아래 사진처럼 철골들을 촘촘하게 사용할 수 밖에 없는데 이런 식의 철골배치는 전체 단열성의 70%이상을 열교현상으로 잃어버릴 수 밖에 없다.

 

 

 

외벽과 지붕의 핀효과에 의한 열손실, 바닥의 열교로 인한 열손실 등으로 인해서 컨테이너로 집을 만들 경우는 원하는 단열성을 가질 수가 없다. 컨테이너 형식을 건축재로 사용할 경우에 갖는 기본적인 한계점이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