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건축및유지관리

CLT로 집을 지으실 분 모집중, 일단 동호회 형태로 시작합니다!

제프 주택하자문제전문가 2025. 4. 9. 09:28

탄소중립 문제 때문에 CLT건축에 대해서 작년부터 관심을 가지고 들여다 보고 있었는데... 난데없이 트럼프가 나타나서 관세전쟁을 벌이는 바람에 탄소중립이고 뭐고 다 심연속으로 사라져 버렸다. 원래는 어떻게든 국산CLT를 활성화 시키는 방법을 찾고 있었는데 이미 물건너 가버린 상황이다. 그냥 저렴한 외국 CLT 수입해서 사용하는 수 밖엔 없을 듯하다. 미국이 깽판치니 이젠 유럽쪽과 소통을 강화하는 수 밖엔 없다. 다행히도 CLT쪽에 있어선 유럽이 미국보단 더 낫다. 러시아도 괜찮은데 미국 눈치봐야하니 조심스럽다.

작년부터 CLT건축에 대해서 목구조전문가인 김창환 소장과 계속 얘길해오고 있었다. CLT가 가진 강점이 워낙에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워낙 비싸다. 이런 식으로 지을려면... 엄청 돈 많이 든다! 이런건 돈 버는 상업용 시설 같은 것엔 가능하겠지만 주택용으로는 가성비가 전혀 없다.

때문에 CLT로 건축을 해도 전체를 다 CLT로 하면 안되고 부분적으로, 구조적으로 중요한 부분만 CLT로 하고 나머지는 경량 목구조를 섞는 방식으로 건축을 한다면... 아마도 건축비를 많이 낮출 수가 있을 것이다. 그래도, 일반목조보단 가격이 높다. 당연한 얘기! 하지만, 핵심부분에 CLT가 들어가기 때문에 지진에 강한 엄청나게 튼튼한 집을 지을 수는 있다. 정말 큰 강점. 일본에서도 이미 그런 식의 주택건축이 계속 시도가 되고 있다. 아래 집처럼 말이다. 벽체의 일부분만이 CLT로 되어 있다.

 

처음엔 일본의 CLT를 도입할까도 검토를 했는데, 일본도 지금은 초기단계인지라 CLT 가격이 상당히 높다. 우리보단 훨씬 낮지만 유럽보단 많이 높다. 그래서, 일본정부에서 주는 보조금이 없으면 짓기가 어렵다. 우리가 그걸 달라고 할 수도 없고... ㅎ

그래서, 유럽산 CLT와 기존 경량목구조를 결합하는 방식이 현재로선 가장 가성비가 있고 현실적인 건축방법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CLT를 활용한 주택건축 방법에 대해서 고민해 온 결론이다.

일단 뭘 어떻게 해야만 할지에 대한 방법론은 정해졌고, 이젠 실천에 들어갈 단계이다. 그래서, 김소장과 함께 CLT로 집을 짓겠다는 생각을 가진 예비건축주들을 모아 CLT건축 동호회를 만들기로 했다. 지금 당장은 건축이 어렵겠지만 소모임을 만들어서 차근히 정보를 공유하고 기회가 되면 유럽 현지의 CLT 제조와 가공 공장에도 다녀오고, 또 관련된 설계와 구조도면들도 준비를 하고 하다보면 지금은 머릿속에만 있던 것들이 구체화가 되고 결국엔 CLT로 집을 짓는 일을 하게 될 것이다.

아래는 김소장이 만든 동호회원 모집 포스터이다. 동호회를 만들겠다는 의지를 밝히더니 뚝딱 만들어 왔다! 실천력 하나는 끝내준다! ㅎㅎ

 

우선을 집을 짓겠다는 분들을 대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해보고 건축과정이 어느 정도 이뤄지면 관련하여 많은 사람들이 참석할 수 있는 그런 정보 공유의 장도 마련해볼 계획이다. 뭐든 꿈꾸고 노력하다보면 이뤄질 수 밖엔 없다.

CLT 주택에 관심이 있는 예비건축주 분들은 김소장이나 내게 연락 주시기 바란다.

- 목인구조 김창환 소장 : 010-2505-0270

- 내 연락처는 아래 전자명함 ^^